Item | Discussion | Date | Author |
---|---|---|---|
01 | 에러분이 프로그래밍 언어를 발명한다면? | N/A | TBD |
02 | 컴파일러는 어떻게 작동하는 걸까? | N/A | TBD |
03 | 링커의 말할 수 없는 비밀 | N/A | TBD |
04 | 컴퓨터 과학에서 추상화가 중요한 이유 | N/A | TBD |
Item | Discussion | Date | Author |
---|---|---|---|
01 | 운영 체제, 프로세스, 스레드의 근본 이해하기 | N/A | TBD |
02 | 스래드 간 공유되는 프로젝트 리소스 | N/A | TBD |
03 | 스레드 안전 코드는 도데체 어떻게 작성해야 할까? | N/A | TBD |
04 | 프로그래머는 코루틴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 N/A | TBD |
05 | 콜백 함수를 철저하게 이해한다 | N/A | TBD |
06 | 동기와 비동기를 철저하게 이해한다 | N/A | TBD |
07 | 아 맞다! 블로킹과 논블로킹도 있다 | N/A | TBD |
08 | 높은 동시성과 고성능을 갖춘 서버 구현 | N/A | TBD |
09 | 컴퓨터 시스템 여행: 데이터, 코드. 콜백, 클로저에서 컨테이너, 가상 머신까지 | N/A | TBD |
Item | Discussion | Date | Author |
---|---|---|---|
01 | 메모리의 본질, 포인터와 참조 | N/A | TBD |
02 | 프로세스는 메모리 안에서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까? | N/A | TBD |
03 | 스택 영역: 함수 호출은 어떻게 구현될까? | N/A | TBD |
04 | 힙 영역: 메모리의 동적 할당은 어떨게 구현될까? | N/A | TBD |
05 | 메모리를 할당할 때 저수준 계층에서 일어나는 일 | N/A | TBD |
06 | 고성능 서버의 메모리 풀은 어떻게 구현될까? | N/A | TBD |
07 | 대표적인 메모리 관련 버그 | N/A | TBD |
08 | 왜 SSD는 메모리로 사용할 수 없을까 | N/A | TBD |
Item | Discussion | Date | Author |
---|---|---|---|
01 | 이 작은 장난감을 CPU라고 부른다 | N/A | TBD |
02 | CPU는 유휴 상태일 때 무엇을 할까? | N/A | TBD |
03 | CPU는 숫자를 어떻게 인식할까? | N/A | TBD |
04 | CPU가 if 문을 만났을 때 | N/A | TBD |
05 | CPU 코어 수와 스레드 수 사이의 관계는 무엇일까? | N/A | TBD |
06 | CPU 진화론(상): 복잡 명령어 집합의 탄생 | N/A | TBD |
07 | CPU 진화론(중): 축소 명령어 집합의 탄생) | N/A | TBD |
08 | CPU 진화론(하): 절체절명의 위기에서 반격) | N/A | TBD |
09 | CPU, 스택과 함수 호출, 시스템 호출, 스레드의 전환, 인터럽트 처리 통달하기 | N/A | TBD |
Item | Discussion | Date | Author |
---|---|---|---|
01 | 캐시, 어디에나 존재하는 것 | N/A | TBD |
02 | 어떻게 캐시 친화적인 프로그램을 작성할까? | N/A | TBD |
03 | 다중 스레드 성능 방해자 | N/A | TBD |
04 | 봉화희제후와 메모리 장벽 | N/A | TBD |
Item | Discussion | Date | Author |
---|---|---|---|
01 | CPU는 어떻게 입출력 작업을 처리할까? | N/A | TBD |
02 | 디스크가 입출력을 처리할 때 CPU가 하는 일은 무엇일까? | N/A | TBD |
03 | 파일을 읽을 때 프로그램에는 어떤 일이 발생할까? | N/A | TBD |
04 | 높은 동시성의 비결: 입출력 다중화 | N/A | TBD |
05 | mmap: 메모리 읽기와 쓰기 방식으로 파일 처리하기 | N/A | TBD |
06 | 컴퓨터 시스템 각 부분에서 얼마큼 지연이 일어날까? | N/A | TBD |
- 마감 기한: 매주 일요일 오후 11시 59분
- 매주 소쳅터 3~4개 진행
- 각자 소쳅터 1~2개씩 마크다운으로 정리해서 PR
- 본인이 올리지 않은 PR에 대해서 리뷰 - 개인적인 의견을 남길 수 있다.
- 각 아이템 별 directory에 해당 아이템 내용을 정리한다. (파일명: item_1_이름.md)
- 각자의 이름을 딴 브렌치를 사용하고 main으로 PR을 올린다. ex) minasug
- Pull Request 제목은
[이름] 챕터 소 쳅터 제목 정리
로 한다. ex) [채민석] 2.1 운영 체제, 프로세스, 스레드의 근본 이해하기 - 다른 사람의 PR이 올라오면 해당 챕터에 관련한 자신의 의견을 남길 수 있다.
- PR 리뷰 후 approve와 good to merge 레이블을 표시한다.
- good to merge가 있다면 PR을 올린 사람은 merge 한다.
- 담당 아이템이 아닌 내용을 정리하는 것은 자유이다.
- commit은 깃모지로 통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