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signed in with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You signed out in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You switched accounts on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Dismiss alert
"실제 캐글 대회에서 사용된 추가 노트를 에이전트를 실행할 때 `run`메소드의 kwarg로 넘겨주었습니다."
142
+
],
144
143
"metadata": {
145
-
"id": "WOLY_WBLPGQE",
146
-
"collapsed": true
147
-
},
148
-
"outputs": [],
144
+
"id": "gnruiFV_62KL"
145
+
}
146
+
},
147
+
{
148
+
"cell_type": "code",
149
149
"source": [
150
150
"additional_notes = \"\"\"\n",
151
151
"### Variable Notes\n",
152
-
"PassengerId : 승객 아이디\n",
153
-
"Survived : 생존여부 (0: 사망, 1: 생존)\n",
154
-
"pclass: 사회경제적 지위(SES)의 대리 변수\n",
152
+
"승객ID : 승객 아이디\n",
153
+
"생존여부 : (0: 사망, 1: 생존)\n",
154
+
"클래스: 사회경제적 지위\n",
155
155
"1 = 상류층\n",
156
156
"2 = 중산층\n",
157
157
"3 = 하류층\n",
158
-
"Sex : 성별 (male: 남성, female: 여성)\n",
159
-
"age: 나이(Age)가 1 미만일 경우 소수로 표시됩니다. 나이가 추정된 경우, xx.5 형태로 표시됩니다.\n",
160
-
"sibsp: 이 데이터셋은 가족 관계를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n",
161
-
"형제 = 형제, 자매, 이복형제, 이복자매\n",
158
+
"성별 : 남성, 여성\n",
159
+
"나이 : 나이가 1 미만일 경우 소수로 표시됩니다. 나이가 추정된 경우, xx.5 형태로 표시됩니다.\n",
160
+
"형제배우자: 이 데이터셋은 가족 관계를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n",
161
+
"형제자매 = 형제, 자매, 이복형제, 이복자매\n",
162
162
"배우자 = 남편, 아내 (애인과 약혼자는 간주하지 않았습니다.)\n",
163
-
"parch: 이 데이터셋은 가족 관계를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n",
163
+
"부모자식: 이 데이터셋은 가족 관계를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n",
164
164
"부모 = 어머니, 아버지\n",
165
-
"자녀 = 딸, 아들, 양녀, 양자\n",
166
-
"유모와 여행을 온 몇 어린이들의 경우, parch=0 로 표현합니다.\n",
167
-
"Fare: 티켓 요금\n",
165
+
"자식 = 딸, 아들, 양녀, 양자\n",
166
+
"유모와 여행을 온 몇 어린이들의 경우, 부모자식=0 로 표현합니다.\n",
167
+
"요금: 티켓 요금\n",
168
168
"\"\"\"\n",
169
169
"\n",
170
170
"analysis = agent.run(\n",
171
-
"\"\"\"당신은 데이터 분석 전문가입니다. 소스 파일을 로드하고 내용을 분석하세요. 아래 세가지 행동을 취해주세요.\n",
171
+
"\"\"\"당신은 데이터 분석 전문가입니다. 소스 파일을 로드하고 내용을 분석해주세요.\n",
172
+
"먼저 주어진 변수와 생존율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흥미로운 질문 3가지를 나열하고, 해당 질문에 하나씩 답하고 관련된 숫자를 찾아내세요.\n",
173
+
"matplotlib/seaborn을 사용해 3가지 질문에 관련된 그래프를 그리고, './figures/' 폴더에 저장하십시오. 다른 그래프를 그리기 전에 plt.clf()로 각 그래프를 지워야 합니다. 그래프의 라벨명은 영어로 해주세요.\n",
172
174
"\n",
173
-
"첫번째, 주어진 변수를 바탕으로 데이터에서 흥미로운 질문 3개를 선정하고, 각각 답해보세요. 예를 들어, survival rate(생존율)과의 특정 상관관계에 관한 질문을 만들 수 있습니다. (질문은 반드시 최소한 3개의 번호가 매겨진 상세한 항목)\n",
174
-
"두번째, 3가지 질문과 관련된 figures를 그리세요. matplotlib/seaborn을 사용해 './figures/' 폴더에 저장하세요. 각 그림을 그리기 전에 plt.clf()로 그림을 지워주세요.\n",
175
-
"세번째, 위의 답변에서 구한 상관관계와 경향을 요약하세요. 각 숫자에서 실생활 인사이트를 도출하세요. 예를 들어, \"is_december와 boredness의 상관관계는 1.3453이며, 이는 겨울철에 사람들이 더 지루해진다는 것을 시사합니다\"와 같은 식으로요.\n",
175
+
"최종 답변 : 숫자로부터 찾은 상관관계와 인사이트를 요약해주세요.\n",
176
+
"(인사이트 예시: \"is_december와 boredness 간의 상관관계는 1.3453으로, 이는 사람들이 겨울에 더 지루함을 느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합니다.\")\n",
0 commi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