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le tree 1 file changed +34
-0
lines changed
1 file changed +34
-0
lines change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1
+ # 11. 분석 패턴의 적용
2
+
3
+ 분석 패턴은 업무 모델링 과정에서 발견되는 공통적인 구조를 표현하는 개념의 집합이다.
4
+
5
+ 분석 패턴은 단 하나의 도메인에 대해서만 적절할 수도 있고 여러 도메인에 걸쳐 적용이 가능할 수도 있다.
6
+
7
+ - 분석 패턴은 파악하기 힘든 도메인을 다뤄야 하는 사람들에게 반복적인 개발 과정으로 소프트웨어를 설장시킬 수 있는 가치 있는 출발점에 해당한다.
8
+ - 분석 패턴이라는 이름은 분석 패턴이 지닌 개념적인 본질을 강조한다.
9
+ - 분석 패턴은 기술적인 해법이 아니다.
10
+ - 분석 패턴은 특정 도메인의 모델을 작성할 때 따를 수 있는 유용한 지침서에 해당한다.
11
+
12
+ - 분석 패턴이라는 이름은 이러한 패턴에 코드를 포함해서 중요 구현 쟁점과 관련돼 있다는 사실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지 못한다.
13
+
14
+ 최상의 분석 패턴은 과거의 프로젝트에서 유용한 경험을 전달하고 모델에 대한 통찰력을 광범위한 설계 방침과 구현 결과에 결합시킨다.
15
+
16
+ 문맥을 고려하지 않고 모델과 관련된 아이디어를 논한다면 아이디어를 적용하기가 어려워지고 model-driven design의 개념에 상반되는 분석과 설계의 치명적인 분할이 발생할 위험을 무릅써야 한다.
17
+
18
+ ### 분석 패턴은 참고할 수 있는 지식이다
19
+
20
+ 분석 패턴이 현재의 특정 요구사항에 딱 들어맞는 경우는 거의 없다.
21
+
22
+ 그럼에도 분석 패턴은 도메인을 파악하는 과정에서 훌륭한 길잡이 역할을 하며 깔끔하게 추상화된 어휘집을 제공한다.
23
+
24
+ 한 가지 변경하지 말아야 할 것
25
+
26
+ - 널리 알려진 분석 패턴을 적용할 때는 패턴의 외견상의 형태는 변경해도 무방하지만 패턴이 의미하는 기본적인 개념만큼은 손대지 말아야 한다.
27
+ - 패턴에는 문제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지식이 포함돼 있다.
28
+ - 널리 이해되거나 적어도 잘 설명된 용어를 포함시킴으로써 UBIQUITOUS LANGUAGE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29
+
30
+ 일반화된 프레임워크를 포함해 모델은 전체적으로 동작하는 하나의 완전한 기능 단위인 데 비해 분석 패턴은 모델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속품에 불과하다.
31
+
32
+ 분석 패턴은 가장 중요하고 어려운 결정 사항에 집중하고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하는지와 그 외의 대안으로는 어떤 것이 있는지 명확하게 제시한다.
33
+
34
+ 또한 분석 패턴은 그것이 없다면 알아내는 데 큰 비용이 드는 하부 활동에 대한 영향력을 예측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
You can’t perform that action at this time.
0 commi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