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le tree 2 files changed +54
-0
lines changed
2 files changed +54
-0
lines change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1
+ # 3장. 패러다임 개요
2
+
3
+ - [ zhoon] ( ./zhoon/ )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1
+ # 3장. 패러다임 개요
2
+
3
+ ## introduction
4
+
5
+ - 다음 세 가지 패러다임에 대해 알아보자
6
+ - 구조적 프로그래밍
7
+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8
+ - 함수형 프로그래밍
9
+
10
+ ## 구조적 프로그래밍
11
+
12
+ - 최초로 적용된 패러다임
13
+ - 최초로 만들어진 패러다임은 아님
14
+ - 1968년 에츠허르 비버 데이크스트라가 발견함
15
+
16
+ > 구조적 프로그래밍은 제어흐름의 직접적인 전환에 대해 규칙을 부과한다.
17
+
18
+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19
+
20
+ - 구조적 프로그래밍보다 2년 앞선 1966년, 올레 요한 달과 크리스텐 니가드에 의해 등장함
21
+ - 알골 언어의 함수 호출 스택 프레임을 힙으로 옮기면, 함수 호출이 반환된 이후에도 함수에서 선언된 지역 변수가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음을 발견함
22
+ - 바로 이러한 함수가 클래스의 생성자가 됨
23
+ - 지역변수는 인스턴스 변수, 그리고 중첩 함수는 메서드가 됨
24
+ - 함수 포인터를 특정 규칙에 따라 사용하는 과정을 통해 필연적으로 다형성이 등장하게 됨
25
+
26
+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제어흐름의 간접적인 전환에 대해 규칙을 부과한다.
27
+
28
+ ## 함수형 프로그래밍
29
+
30
+ - 세 패러다임 중 가장 먼저 만들어짐
31
+ - 컴퓨터 프로그래밍 자체보다 먼저 등장함
32
+ - 수학적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람다 계산법을 발명함
33
+ - LISP 언어의 근간이 되는 개념이 람다 계산법
34
+ - 람다 계산법의 기초가 되는 개념은 불변성
35
+ - 심볼의 값이 변경되지 않는다는 개념
36
+ - 이는 함수형 언어에는 할당문이 전혀 없다는 뜻
37
+ - 사실 대다수의 함수형 언어가 변수 값을 변경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는 하자미나, 굉장히 까다로운 조건 아래에서만 가능함
38
+
39
+ >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할당문에 대해 규칙을 부과한다.
40
+
41
+ ## 생각할 거리
42
+
43
+ - 각 패러다임은 프로그래머에게서 권한을 박탈함
44
+ - 어느 패러다임도 새로운 권한을 부여하지 않음
45
+ - 각 패러다임은 부정적인 의도를 가지는 일종의 추가적인 규칙을 부과함
46
+ - 즉, 패러다임은 무엇을 해야 할 지를 말하기보다는 무엇을 해서는 안 되는지를 말해준다.
47
+
48
+ ## 결론
49
+
50
+ - 패러다임와 아키텍처는 관계가 있다
51
+ - 서로 어떻게 연관되는지 확인해보자
You can’t perform that action at this time.
0 commi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