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190 lines (115 loc) · 9.11 KB

README.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190 lines (115 loc) · 9.11 KB

header

header


🏆 삼성 청년 SW 아카데미 10기 공통 프로젝트 우수상 수상

👉 새로운 프로젝트, 사업 아이디어 구상을 도와줄 온라인 실시간 협업 툴


아이디어 기획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위한 도구로서,
팀원들과의 온라인 실시간 협업을 통해 아이디어 보드를 자유롭게 꾸밀 수 있습니다.

  1. 다양한 아이디어 기법을 적용한 템플릿을 제공합니다.
  • 아이디어 시각화 뿐만 아니라 도출을 적극적으로 돕는 템플릿 제공
  • 교육학 논문 내용 기반의 변형 또는 자체 제작을 통한 차별화
    (1) 화이트 보드 (White Board) : 여러분의 아이디어, 자유롭게 표현해보세요!
    (2) 랜덤 버블 (Random Bubble) : 빈 화면에서 막연한 고민은 그만! 랜덤 단어의 도움을 받아보세요.
    (3) 6가지 생각 모자 (6hats) : 역할모자를 쓰고 관점을 다르게 하여 분석 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4) 세븐쳌 (7check) : 기존에서 하나씩 체크해가면서 조금 바꿔보는 것은 어떨까요?
  1. 튜토리얼을 통해 아이디어 기법에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 입문자 및 초보자를 위한 상세한 템플릿 튜토리얼
  • 튜토리얼을 통한 아이디어 기법에의 쉬운 접근 가능
  • 아이디어 기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사람도 손쉽게 사용 가능
  1. 실시간 협업 및 소통을 위한 보드, 문자채팅, 화상회의를 지원합니다.
  • 화이트보드 협업
  • 실시간 문자 채팅
  • 화상 회의
  1. 다양한 도구를 사용해 마음껏 보드를 꾸밀 수 있습니다.
  • 다양한 도형과 도형 편집 옵션 제공
  • 텍스트, 선, 이미지 등으로 마음껏 생각을 표현하세요.
  1. 여러분의 작업물은 자동 저장되며, 언제나 안전하게 보관됩니다.
  • 작업과 동시에 저장되는 진행사항
  • 언제든 다시 돌아와 이전의 아이디어를 살펴보세요!

지금 사용해보세요.


📌 사용 예시

🔷 소셜 로그인 (naver)

🔷프로젝트 생성 (white board)

🔷 탬플릿 튜토리얼 (7Check template)

🔷 실시간 협업 및 화상 회의

🔷 프로젝트 관리 (폴더, 이름 수정, 북마크 기능)

🔷 유저 관리 (프로필, 이름 변경 기능)


📌 Team Convention

🔷 Git Convention

Type 키워드 맨 앞글자는 대문자 사용 ( ex. Feat: ~ )

img.png

❗ 변경 시 마다 커밋! 고칠 때는 기능별 수정사항 한번에 ❗

🔷 Frontend Convention

  • Feat : 새로운 기능 추가 (대부분에 사용) ex. 홈 버튼 생성
  • Fix : 버그 발생 시 ex. 홈 버튼 클릭이 안되는 버그 수정
  • Design : UI 변경 시 (CSS) ex. 홈 버튼 좌우간격 수정

🔷 Backend Convention

  • Git: 대표 컨벤션 그대로 사용 (위의 이미지)
  • Springboot-app: 클래스명은 파스칼 케이스, 그 외 카멜 케이스 사용
  • Database: RDB의 column 및 NoSQL 컬렉션의 key 값 모두 카멜 케이스 사용

🔷 API URL 명명규칙

  1. URL을 작성할 때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2. 언더바(’_’) 대신 하이픈(’-’)을 사용한다.
  3. 마지막에 슬래시(’/’)를 포함하지 않는다.
  4. 파일 확장자는 URL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 Jira & Gerrit

🔷 Jira

🔥 번다운 차트

burndown.JPG

  • 매일 인당 스토리 포인트 8점씩 부여하여 스케줄 관리
  • 극초반 Jira 사용 요령이 생기기 전 이외엔 모두 이상적인 그래프를 기록

타임라인

timeline.JPG

  • 스프린트 일정은 대분류를 회의와 같은 공통, 기획, 프론트, 백엔드, 기타로 구분
  • 프론트엔드와 백엔드는 큰 기능 구현 및 대형 작업을 위주로 업무를 구분

🔷 Gerrit

img.png

  • Gitlab에 직접적인 push를 넣는 방식 대신 코드리뷰를 거쳐야만 push가 가능한 gerrit을 활용
  • 코드리뷰는 리뷰어를 따로 지정해두지 않고 그 때 그 때 가능한 사람을 지정하여 코드리뷰를 부탁하는 형식으로 진행됨

📌 Tech Stack

img.png

🔷 BackEnd

🔷 FrontEnd

🔷 DataBase

🔷 DevOps


📌 ERD(DB 시각화)

mongoDBredis는 NoSQL DB이기 때문에 컬렉션 구조와 다른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과 맺는 관계를 ERD로 그리는 것은 어불성설이나, 개발자의 개발 편의를 위해 시각화해두었음을 밝힌다.


📌 Team '선' 보고 '후' 조치

🔗 Team Notion

👤 팀장 이지은

  • ProjectManager(기획 및 GIT, Gerrit, Jira 등 활용 프로젝트 관리), FrontEnd(Template 및 튜토리얼 기획, 디자인 및 기능 구현)

👤 팀원 정연우

  • Designer(UI), FrontEnd(Main, Login, board 등 페이지/컴포넌트 디자인 및 기능 구현)

👤 팀원 강준규

  • WebRTC(peer.js 화상회의, node server 구현), Websocket(문자채팅, 실시간 협업기능, node server 구현), FrontEnd(board 페이지 기능 구현)

👤 팀원 임현승

  • BackEnd(mysql 관련 RESTful Api 제작 등), FrontEnd 보조(Template 및 튜토리얼 기능 구현)

👤 팀원 박영규

  • BackEnd(Database 설계, DB 서버 구축, WebSocket Server), DevOps(인프라 구축, 깃랩-젠킨스-EC2 파이프라인 구축)

👤 팀원 김범수

  • BackEnd(Database 설계, Redis, MongoDB 관련 RESTful Api 제작, OAuth JWT 작업), DevOps(테스트 서버 지원)